주식

2024년 1월 18일 목요일 마감시황

킹개미 2024. 1. 19. 06:08
반응형


기업공시

  • 삼성중공업(010140)=오세아니아 지역 선주와 3150억 원 규모 LPG/암모니아 운반석 2척 공사 수주
  • 일진전기(103590)=유상증자 확정 발행가액 8820원
  • LS에코에너지(229640)=LS전선이 장내매수로 0.60% 지분 추가 매입해 보유 지분 55.73%로 증가
  • 진에어(272450)=대한항공(003490)과 항공기 4대 2189억 원 규모 임차 거래 결정
  • SK이노베이션(096770)=자회사 SK 배터리 아메리카의 글로벌 본드 발행에 따른 원리금 채무에 대한 보증 결정, 채무 보증 금액 8059억 원
  • 동화약품(000020)=셀트리온 아시아 퍼시픽이 보유한 아시아 3개국(한국, 홍콩. 대만)의 4개 브랜드(화이투벤, 화이투벤 나잘, 알보칠, 칼시츄) 관련 모든 권리(허가, 상표권, 재고자산 등 일체) 372억 원에 인수 계약
  • 한미반도체(042700)=2023년 4분기 매출액 522억 원(전년 동기 대비 -14.3%), 영업이익 184억 원(26.6%)
  • 미원에스씨(268280)=매출액 4376억 원(-28.4%), 영업이익 236억 원(-70.7%)
  • 코츠테크놀로지(448710)=현대로템과 53억 원 규모 지휘소 2차 양산 물품공급 계약
  • 피엔티(137400)=1145억 원 규모 2차전지 전극공정 장비 공급 계약
  • 에이비엘바이오(298380)=이중항체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의 미국 FDA 제1상 임상시험계획 (IND) 변경 승인
  • 이엠코리아(095190)=현대로템과 96억 원 규모 지휘소 2차 양산 물품공급계약
  • 브이원텍(251630)=LG전자와 90억 원 규모 2차전지 검사시스템 공급계약

외국인/기관 순매수 상위 5종목


■ 코스피
- 외국인
1위 : SK하이닉스
2위 : 솔루엠
3위 : LG에너지솔루션
4위 : 아모레퍼시픽
5위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기관
1위 : 오리온
2위 : POSCO홀딩스
3위 : 에코프로머티
4위 : SK하이닉스
5위 : 카카오

■ 코스닥
- 외국인
1위 : 에코프로비엠
2위 : 신성델타테크
3위 : 아프리카TV
4위 : 알테오젠
5위 : HPSP

- 기관
1위 : 에코프로비엠
2위 : 엘앤에프
3위 : 이오테크닉스
4위 : 주성엔지니어링
5위 : HPSP


2024년 1월 18일 상승률 TOP30


1. 플리토(29.94%) : 삼성전자, AI 탑재 갤럭시 S24 시리즈 공개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2. 포시에스(29.83%) : 클라우드 시장 성장 수혜 기대감 지속 및 여야 저출산 대책 발표 속 재택근무/스마트워크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한가

3. 알서포트(25.94%) : 여야 저출산 공약 발표 속 재택근무 활성화 기대감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4. 큐알티(25.76%) : TSMC 지난해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5. 동아엘텍(24.84%) : LG화학, 애플 아이패드에 OLED 소재 공급 소식 등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속 급등

6. 풍원정밀(23.63%) : LG화학, 애플 아이패드에 OLED 소재 공급 소식 등에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상승 속 급등

7. 밀리의서재(23.46%)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전망 및 AI 기술 활용 부각 등에 급등

8. 누보(21.68%) : 홍해 불안 지속 속 국제곡물가격 상승 전망 등에 비료/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9. 아이큐어(19.26%) : 자회사 단디큐어, KBSI와 차세대 표적 항암제 개발 소식에 급등

10. 이스트소프트(17.81%) : 삼성전자, AI 탑재 갤럭시 S24 시리즈 공개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11. 신세계건설(17.65%) : 그룹차원 지원방안 발표 예정 소식에 급등

12. 디앤씨미디어(16.4%) : 웹툰 테마 상승 속 애니 '나 혼자만 레벨업' 흥행 소식에 급등

13. 대양금속(16.24%)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14. 스코넥(14.54%)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15. 아이티센(13.86%) : 아이티센재팬을 통해 일본 디지털자산·STO 시장 본격 진출 모멘텀 지속에 급등

16. 인포마크(13.68%)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90억원 규모 CB발행 결정등에 급등

17. 브리지텍(13.4%) : 삼성전자, AI 탑재 갤럭시 S24 시리즈 공개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18. 더존비즈온(13.33%) :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속 급등

19. 에이텀(13.21%) : 갤럭시S24의 고속충전 탑재 기대감 지속 및 AI 고전력 수혜 전망에 급등

20. 엔켐(13.16%) : 美 해외우려집단(FEOC) 가이드라인 본격화에 따른 전해액 업체 수혜 기대감 속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21. 일진전기(12.98%) : 전력설비/전선 테마 상승 및 유상증자 발행가액 확정 속 급등

22. 한글과컴퓨터(12.75%) : AI 챗봇(챗GPT 등) 및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속 급등

23. 링네트(12.56%) : 여야 저출산 공 약 발표 속 재택근무 활성화 기대감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24. 녹십자웰빙(12.16%)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25. 리노스(11.92%) : 삼성전자, AI 탑재 갤럭시 S24 시리즈 공개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26. 시큐레터(11.9%) : 아마존·화웨이 태국 최대 규모 IDC 건설 및 AI허브 구축 소식 속 태국 보안기업 블루지브라와 IDC 공동투자 협약 부각 등에 급등

27. 이씨에스(11.76%) : 여야 저출산 공약 발표 속 재택근무 활성화 기대감 등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테마 상승 속 급등

28. 진원생명과학(11.73%) : 세계 최초 유전자편집 치료제 '캐스게비' 2번째 적응증 획득 소식 속 일부 유전자 치료제/분석 테마 상승 속 급등

29. 바이브컴퍼니(11.03%) : 삼성전자, AI 탑재 갤럭시 S24 시리즈 공개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30. 깨끗한나라(11.01%) : 여야 저출산 공약 발표 소식 등에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속급등

[AI 관련주]
플리토 밀리의서재 이스트소프트 브리지텍 에이텀 한글과컴퓨터 리노스 바이브컴퍼니

[저출산/재택근무 관련주]
알서포트 더존비즈온 링네트 이씨에스


희망의 소프트웨어(메리츠증권)


1. 외국인 선물11거래일 연속 순매도 이후 첫 순매수 기록(+131억원).
상해종합지수도 장중 2020년 3월 코로나 이후 최저점인 2,800선을 하회했다가 아랫꼬리를 달고 반등(2,846pt, +0.4%).
외국인은 시총상위주 중 KOSPI에서 SK하이닉스(+4.0%), KOSDAQ에서는 에코프로비엠(+2.5%), HLB(+7.3%) 집중 매수.
종목간 편차가 심하고 어제의 낙폭에 비하면 택도 없지만 일단 오늘 지수는 안정, KOSPI +0.2%, KOSDAQ +0.9%

2. AI소프트웨어 강세 두드러짐.
주도주의 조건= 시장 빠질 때 많이 안 빠지고 오를 때 제일 많이 오르는 역할 담당.
GPT스토어와 더불어 갤럭시S24 통화 중 13개 언어 실시간 통역 서비스 화제(플리토/포시에스 상한가, 이스트소프트+18%, 한글과컴퓨터+13%, 브리지텍+13%(케이뱅크 지분0.8%, 300만주 보유), 에이텀 +13%, 리노스 +12%, 바이브컴퍼니 +11%, 데이타솔루션 +9.4%, 마음AI +6.6%, 코난테크놀로지 +6.1%, 셀바스AI +5.6%). 롯데정보통신(+8.8%)은 메타버스 테마주로서 시세 지속

3,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2024년 디지털플랫폼정부(DPG) 예산을 9,386억원으로 확정, 당초 정부안 대비 124억원 증액된 것으로 전년보다 5,179억원(+123%) 확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마이데이터 인프라 조성, DPG 혁신서비스(테스트베드·데이터 레이크 등), 초거대AI 기반 서비스 개발, 행정서비스 통합창구 구축 등이 주요 사업

4. 또한 대통령실은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 여부에 방향성을 갖지 말라는 긍정적 취지 발언(한화투자증권 +6.1%, 우리기술투자 +4.7%)

5. ‘나혼자만 레벨업’ 애니 흥행에 디앤씨미디어(+16%)를 필두로 웹툰/콘텐츠 강세(핑거스토리 +10%, 엔비티+8.3%, 와이랩 +8.3%, 키다리스튜디오 +7.5%, 미스터블루 +6.2%)

6. 한미반도체(+7.3%)는 마침 괜찮은 실적 발표(4Q23 매출522억원, 영업이익184억원vs. 예상치409억, 86억). 시스템반도체(CXL) 시세에 도움.
갤럭시S24 공개에 On-Device 종목도 강세(큐알티 +26%, HPSP +5.4%, 이오테크닉스 +3.5%, ISC +4.8%, 주성엔지니어링 +5.2%, 하나마이크론 +6.5%, 해성디에스 +3.2%, 가온칩스 +6.1%, 에이직랜드 +8.0%, 퀄리타스반도체 +8.8%)

7. 2차전지 업종에서 최근 엔켐(+13%)의 초강세, YTD 주가+62%.
오늘은 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에 따른 106,137주 추가 상장일임에도 급등(기존 총 발행주식수 16,503,522주 대비 0.6%).
작년 12월 미국 FEOC(Foreign Entity of Concern·해외우려기관) 발표에 따른 반사수혜, 분리막·전해액 기업의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 제조생산 세액공제(AMPC) 적용 확정 이후 시세 지속.
전해액(엔켐, 솔브레인홀딩스 +7.2%), 분리막(더블유씨피 +7.1%) 몇몇 종목으로 압축

8. 지수 바닥에 대한 확신이 없는 상황에서 Put 종목 매수도 여전.
우주(IMM PE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인수 추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7%, 한국항공우주 +3.4%),
헬스케어(HLB +7.3%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간 기능 무관 모든 환자에서 유효성 입증, 진원생명과학 +12%, 지노믹트리 +8.1%, JW중외제약 +8.1%, 시노펙스 +7.4%, 대웅제약 +3.6%)

9. 우주항공과 더불어 저출산도 여야가 합의한 총선 정책주.
한동훈 국민의 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호 공약으로 저출산 정책 발표.
민주당에서도 당무에 복귀한 이재명 대표가 4호 공약으로 저출산 대책 제시(제로투세븐 +11%).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출산 가정의 유연 근무와 재택근무를 허용하는‘하이브리드 근무제’를 집중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팬데믹 시절 재택근무 관련주가 저출산주로 편입(알서포트 +26%, 더존비즈온 +13%, 이씨에스 +12%, 유엔젤 +8.7%)

10. 낙폭과대+실적주도 반등 노력.
화장품(아모레퍼시픽 +7.7%, 아모레G +4.6%, LG생활건강 +6.7%, 씨앤씨인터내셔널 +6.7%, 실리콘투 +8.8%, 브이티 +6.8%),
엔터(박진영 JYP Ent. 장내 매수, 와이지엔터테인먼트+5.4%, 디어유 +4.2%),
LCC(진에어 +6.0% 흑자 전환, 제주항공+6.1%, 티웨이항공 +5.2%),
타이어(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5.8%), M&A(오리온 +3.2%)

11. 일진전기 +13%, 유상증자 신주발행가액 확정(8,820원)에 급등.
극한 한파로 미국 곳곳에서 정전이 발생하며 송배전주식 강세(HD현대일렉트릭 +4.7%, 효성중공업 +6.3%)

12. 지수 나락에도 강한 주식은 존재.
종목 선택에 따라 희비가 크게 엇갈리는 전통의 박스피 종목장.
오늘처럼 외국인 매도세가 잦아든다면 선별적 long 관점에서 접근

20240118184136640K_02.pdf
0.22MB


실적이 의심받을 때(신한증권)


중국 주식시장에 연동된 KOSPI
KOSPI와 KOSDAQ은 금일 0.2%, 0.9% 상승해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자금 이탈에 따른 주식시장 하락세가 연일 이어지고 있었으나 낙폭 과대인식, 중국 주식시장 반등 영향에 하락 속도 둔화했습니다.
외국인은 금일 KOSPI 1,300억원 순매도로 이탈 추세 이어갔으나 KOSPI200 선물 131억 순매수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 인덱스 하락 영향, 외국인자금 이탈 규모 축소 영향에 4.5 원 내린 1,339.7원으로 마감했습니다.
금일 한국 주식시장은 중국에 연동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 출회되고 있는 자금 성격이 중국과 상당 부분 연관됐다는 의미입니다.
변곡점은 중국 매크로 데이터 반전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철강, 화학 업종 상승 vs 운송, 보험 업종 하락
KOSPI는 연초 이후 지속 하락했으나 금일 낙폭 과대 인식 및 외국인 선물 순매수 전환 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대부분의 업종 상승한 가운데 실적 전망이 밝은 업종 및 테마 위주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됐습니다.
1)AI: 온디바이스 AI 탑재 갤럭시 S24 공개 및 GPT스토어 오픈에 관련주 강세.
2)소프트웨어(웹툰): 나혼자만 레벨업의 IP 활용 애니메이션, 게임 등 콘텐츠 흥행에 동반 강세. 문체부 발표 산업 전망 역시 우호적.
3)기계(전력기기): 미국 및 유럽 수주 호황 전망에 강세.
4) 화장품: 24년 업황 개선 기대감 및 연초 이후 연이은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

하드 파워보다 소프트파워에 관심 가질 구간
금일 외국인 선물 매도 규모 축소는 우호적이지만 여전히 주식 순매도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반전을 위해서는 연준 통화정책 경계감 축소, 중국매크로 데이터 반전 등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에 동시에 전개될 2023년 4분기 실적은 예상치 하회할 가능성 높습니다.
현재 주식시장이 등락할 구간은 호재보다 악재가 중첩돼 있습니다. 관건은 밸류에이션입니다.
이익 추정치 일부 하향을 고려해도 적정 밸류에이션(PBR 중심)에서 9%가량 하향 이탈한 상황입니다. 점차 가격 매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적이 의심을 받을 때 각광받을 수 있는 주식은 스토리 중심 성장주일 듯합니다. 하드파워보다 소프트파워에 관심을 가져야할 구간입니다.

bbs_1705564717879.pdf
0.68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