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D램-낸드 쪽 좋은 뉴스가 계속 나오고 있다.

킹개미 2024. 6. 28. 15:22
반응형

3분기 D램 가격 8~13% 상승 전망…HBM·DDR5 효과

27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3분기 D램의 ASP(평균판매가격)은 8~13%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주요 D램 공급업체들은 HBM(고대역폭메모리) 생산량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적층한 메모리로, 일반 D램 대비 수율이 낮아 막대한 양의 웨이퍼 투입이 필요하다.

수요 측면에서는 그간 부진한 흐름을 보인 일반 서버에서 DDR5에 대한 주문량이 확대되는 추세다. 또한 스마트폰 고객사들도 성수기를 대비해 재고를 활발히 보충하려는 기조가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D램의 ASP는 2분기 13~18% 증가한 데 이어, 3분기에도 8~13%의 상승세가 예견된다. 다만 HBM향을 제외한 레거시 D램 기준으로는 ASP가 5~10%가량 상승할 전망이다.

https://zdnet.co.kr/view/?no=20240628080441

 

3분기 D램 가격 8~13% 상승 전망…HBM·DDR5 효과

D램 가격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최선단 제품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27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3분기 D램의 ASP(평균판매가격)은 8~13% 증가할 전망

zdnet.co.kr

 

삼성·SK, 후공정 업계와 장비공급 논의…D램·HBM 수혜 본격화

2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최근 국내 후공정 장비업체와 D램·HBM용 투자와 관련한 공급 논의를 마무리했다.

통상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국내 장비 협력사들과 분기, 혹은 반기별로 향후 있을 장비 공급에 대한 논의를 나누고 있다. 이번 장비 공급 위원회는 내년 2분기말까지 투자 규모를 정하기 위한 자리다.

상반기 장비 공급 위원회가 업계에서 특히 화두가 되고 있는 이유는 HBM에 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적층한 메모리다. AI 산업의 급격한 확장에 맞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국내 메모리 제조업체들도 올해 설비투자의 대부분을 HBM에 할당하기로 했다.

이에 HBM, 1a(4세대 10나노급)·1b(5세대 10나노급) 등 최선단 D램의 생산량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후공정 장비들이 필요한 상황이다. HBM 및 D램 후공정에 대응하는 국내 주요 협력사로는 디아이·와이씨·테크윙 등이 있다.

협력사들은 이달 중순 각 밸류체인에 따라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장비 공급 위원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그간 논의됐던 HBM 및 D램 후공정 투자 규모를 구체화했으며, 그 물량이 당초 업계 예상 대비 큰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장비업계 한 관계자는 "HBM용 신규 후공정 장비가 올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다음 위원회에서 변동사항이 생길 수 있으나, 삼성전자가 HBM 생산능력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어 공급량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zdnet.co.kr/view/?no=20240624092854

 

삼성·SK, 후공정 업계와 장비공급 논의…D램·HBM 수혜 본격화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이달 국내 메모리 후공정 장비업체들과 장비 공급 위원회를 열고 관련 논의를 마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위원회는 내년 중반까지의 D램·HBM(고대역폭메모리)용 투자를

zdnet.co.kr

 

구글·AWS·MS 이어…"애플, 대만에 데이터센터 설립 계획"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대만 북부 지역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1천억 대만달러(4조3천억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계획은 연말 이전에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와 함께 인공지능(AI) 칩을 개발 중인 애플은 엔비디아를 견제할 목적으로 대만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애플은 수년 전부터 데이터센터 서버에서 AI 소프트웨어를 연산할 수 있는 칩 개발을 위해 TSMC와 긴밀하게 협력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최근 엔비디아는 대만에 두 번째 AI 슈퍼컴퓨터 센터 설립을 계획 중이며, AWS는 데이터센터 설립 등에 향후 15년간 수십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구글은 데이터센터용으로 이미 400억 대만 달러(약 1조7천100억원)를 투자했다고 밝혔다.

중국시보는 대만 출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AI 전진기지로 대만을 부각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몰리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컴퓨터에 데이터를 모아두는 시설로 AI와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등 신기술의 기반이 되는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한다.

구글·MS·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은 AI 시대 데이터센터 신설과 증설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국 정부도 데이터센터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만은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적극적이고 일관된 정책을 펴왔다.

2010년 9월 첨단 제조업 기반 위에 AI와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 역량을 융합시키겠다는 전략으로 '아시아 실리콘밸리 육성 계획'을 발표했고, 1년 뒤 구글은 대만 장화현에 아시아 최초로 데이터센터 설립을 선언한 뒤 2년에 걸쳐 6억달러(약 7천800억원)를 들여 완공했다.

대만은 2018년 자국을 아시아 최대 'AI 연구개발(R&D) 허브'로 만들겠다는 '스마트 대만' 전략을 발표하고 현지 AI 분야 인재 5천명 육성에 나섰고 이를 계기로 MS가 같은 해 '대만 AI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고 10억 대만달러(약 426억원)를 투자했다.

그러나 지난 4월 대만 전역을 강태한 규모 7.4 강진으로 TSMC에 정전 사태가 빚어진 것처럼 대만의 '지진 변수'는 데이터센터 설립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있다.

대만 이외에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세계 각국도 정부 차원에서 핵심 인프라 시설인 데이터센터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625048600009?input=1195m

 

HBM대비 낸드 주가는 아직 바닥

데이터센터가 낸드의 핵심 수요

낸드쪽 물량 늘려보자

 

<낸드 - 소재>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낸드 - 장비>

#와이아이케이

#원익IPS

#테스

#피에스케이

#와이씨

 

<낸드 - 파츠>

#티씨케이

#하나머티리얼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