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공시
- 삼성전자(005930)=연결기준 지난해 4분기 잠정 매출액 67조 원, 잠정 영업이익 2조800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4.91%, 35.03%씩 감소
- SK스퀘어(402340)=11번가 매각 보도 관련 미확정 공시. 재무적투자자(FI)가 동반매도요구권으로 추진중인 사항이며 매각 금액, 조건 등은 정해진 바가 없음
- LIG넥스원(079550)=하이게인안테나 외 24개사에 방위사업 관련 선급금 321억 원 지급
- LG에너지솔루션(373220)=연결기준 지난해 4분기 잠정 매출액 8조14억 원, 잠정 영업이익 3382억 원,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 42.5% 증가
- LS ELECTRIC(010120)=BESS 프로젝트용 전력 공급 시스템 868억 원에 공급계약
- 현대미포조선(010620)=아시아소재 선사에서 석유화학제품 운반석 15척 수주, 9425억 원 규모
- 국일제지(078130)=삼라마이다스(SM)그룹에 1005억 원 규모 3자 배정 유상증자
- 아진산업(013310)= 거래소,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관련15일이내에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
01월 09일 장중 외국인/기관
순매수 상위 5종목 보내드립니다.
■ 코스피
- 외국인
1위 : 에코프로머티
2위 : SK하이닉스
3위 : TIGER 200
4위 : 삼성전자우
5위 : 대한항공
- 기관
1위 : KODEX 200선물인버스2X
2위 : SK하이닉스
3위 : 카카오
4위 : NAVER
5위 : 에코프로머티
■ 코스닥
- 외국인
1위 : 신성델타테크
2위 : 이스트소프트
3위 : 엔켐
4위 : 아프리카TV
5위 : 에이직랜드
- 기관
1위 : 에코프로
2위 : 아프리카TV
3위 : 에스엠
4위 : 에이직랜드
5위 : HLB

2024년 1월 9일 상승률 TOP30
1. 한빛레이저(30%) : 스팩 합병 상장 4거래일째 급등세를 이어가며 상한가
2. 포바이포(29.98%) : CES 2024서 혁신상을 받은 화질 고도화 솔루션 '픽셀' 전시 부각에 상한가
3. 광전자(29.91%) : 삼성전자-LG전자,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 소식 등에 일부LED/마이크로 LED 테마 상승 속 상한가
4. 제넨바이오(29.9%) : 최대주주 변경 모멘텀 지속 속 상한가
5. 코디(29.88%) : 최대주주 시너지파트너스, 동사 지분 매각 관련 지피클럽과 경영권 인수 계약을 위한 Binding MOU 체결 등에 상한가
6. 빛샘전자(29.82%) : 삼성전자-LG전자,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 소식 등에 일부 LED테마 상승 속 상한가
7. 디티앤씨알오(29.79%)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1위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속 상한가
8. 마크로젠(29.78%) :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소식 속 브로드 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실시권 부각에 상한가
9. 자이언트스텝(28.25%) :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10. 엔피(22.25%) :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11. 내츄럴엔도텍(22.09%)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12. 대양금속(21.13%)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13. 토니모리(20.49%) : 실적 턴어라운드기대감 등에 급등
14. 라온피플(19.03%) : 자회사 라온로드, 美 스마트교통 및 디지털트윈 분야 AI 교통특허 등록 소식에 급등
15. 앱코(18.98%)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16. 흥구석유(17.98%)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 확대에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17. 피엠티(17.98%) :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MEMS 기술 접목 광-GPU 기술개발 소식 속 3D MEMS 기술 보유 부각등에 급등
18. KEC(17.09%) :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19. 코센(15.35%) : 바나듐 배터리 성장 기대감 속 바나듐 배터리 업체 엑시알비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20. 에이팩트(15.14%) :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21. 큐라클(14.07%) :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대감 및 MIT-브로드연구소,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실명 쥐 시력 회복 성공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22. 제이엘케이(12.02%) : 美 시장 진출 본격화 소식 등에 급등
23. 슈프리마(11.46%)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24. 디티앤씨(10.9%)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1위 모멘텀 지속 등에 일부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상승 속 급등
25. 위지윅스튜디오(10.7%) : 애플 비전프로 2월2일 美 출시 예정 소식에 AR(증강현실)/VR(가상현실)/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26. 광무(10.45%)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27. 아이크래프트(10.25%) : 엔비디아 사상 최고가 소식에 관련주 부각 속 급등
28. 상상인인더스트리(10.16%) : 지난해 흑 자전환에 급등
29. 제이스텍(9.73%) : 일부 OLED 테마 상승 및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기록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등 등에 일부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30. LS에코에너지(9.73%) : 상승 이유 알 수 없음
[메타버스 관련주]
포바이포 자이언트스텝 엔피 위지윅스튜디오
[OLED 관련주]
빛샘전자 광전자 제이스텍
[제약/바이오 관련주]
마크로젠 큐라클 제이엘케이
리더(삼성전자)는 묵직해야 한다(메리츠증권)
1. 작년말 가파르게 진행된 금리 인하 기대가 주춤한 가운데 QT 종료라는 새로운 모멘텀 등장.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가 역레포 프로그램(ON RRP,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잔액이 낮아져 QT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언급한 것.
기술적 요인에 대한 논의를 몇 주 안에 시작하는게 적절하다고 발언.
1~3월 FOMC 때 잠재적 대차대조표 축소 변경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이란 기대감 증폭.
QT 종료 = QE라는 인식까지 등장.
추가 금리 하락이 없어도 상상 유동성을 공급해 시장을 받치는 요인
2. 때마침 Nvidia는 2Q24부터 중국향 AI칩인 H20 양산 발표.
또한 올해 처음 참여하는 CES에서 GeForce RTX 40 SUPER 시리즈 GPU 3종을 공개(4070 SUPER, 4070 Ti SUPER, 4080 SUPER).
2022년 10월 출시된 RTX 40 시리즈 최상위 모델인 4090의 하위 제품으로 기존 4080, 4070보다 성능은 향상, 가격은 인하(4080 SUPER -$200) 또는 유지해 호평.
다음주부터 순차적 출시 예정(1/17, 24, 31). RTX 4080 SUPER는 AI 영상을 기존 모델보다 1.5배 빠르게 만들어 내고 대규모 언어 모델(LLM) 처리도 5배 가량 빨라짐.
또한 최상위 GPU인 RTX 4090과 달리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 수출 제한 규정에 걸리지 않는다고 언급.
주가는 +6.4% 급등해 사상 최고치 경신.
AMD 역시 내장 그래픽칩셋 성능을 강화한 데스크톱 PC용 프로세서 RYZEN 8000G 4종과 연산 성능 및 메모리 용량을 강화한 Radeon RX 7600 XT GPU 공개로 +5.5% 상승. 각각 1월 말, 1/24 출시 예정
3. 설레는 마음으로 개장을 기다리던 중 삼성전자(-2.4%)의 4분기 어닝 쇼크 발표(4Q23 OP 2.8조원 vs. 컨센서스 3.7조원).
연간 영업이익이 6조 5,400억원으로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후퇴.
연간으로 보면 괜찮았던 어제 LG전자와 달리 흐린 눈으로 봐도 15년래 최악의 성적표.
사업부별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으나 DS부문이 여전히 1~2조원대 적자를 낸 것으로 보임.
작년 강했던 하이닉스 대신 삼성전자를 보자는 분위기에서 Nvidia 신고가에 편승할 수 있는 하이닉스로 회귀.
오늘 외국인과 기관은 Long SK하이닉스(+1.0%) / Short 삼성전자(-2.4%).
삼성전자 실적은 한국 증시 전체의 이익 규모와 주가지수 레벨을 결정.
삼성전자의 부진은 KOSPI와 NASDAQ의 괴리로 연결될 우려
4. Aramco는 2월 아랍경질유 OSP(Official Selling Price)를 1월보다 $2/bbl. 낮게 공시.
사우디의 치킨 게임 개시가 의심되며 WTI 유가 -4% 하락.
또한 일부 해운사가 홍해를 안전하게 통과하기 위해 후티 반군과 계약을 맺었다는 보도.
유가 하락 수혜주 집합. 유틸리티(한국전력 +3.2%), 항공(에어부산 +7.2%, 제주항공 +7.0%, 티웨이항공 +6.6%, 진에어 +4.2%, 대한항공 +4.0%, 한진칼 +3.6%, 아사아나항공 +3.5%) 상승.
해운(HMM -4.8%, 하림 -3.8%) 하락
5.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을 역임한 Jay Clayton은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Bitcoin 현물 ETF 승인은 불가피하다고 발언.
Bitcoin +6%대 상승. SEC의 ETF 승인 여부는 내일(1/10) 발표.
작년 8월 가상자산 투자회사 Grayscale이 현물 ETF 승인을 거부한 SEC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이번엔 허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다수.
현재 Blackrock, Fidelity, ARK 등 13개 자산운용사가 ETF 발행 신청서의 최종 수정안을 제출한 뒤 결정을 기다리는 상태.
SEC가 특정 업체에 특혜를 주지 않기 위해 10일 여러 ETF를 동시에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존재.
코인 및 STO 관련주 강세(갤럭시아머니트리 +9.4%, 위메이드 +8.0%, 다날 +8.0%, 우리기술투자 +7.3%, 한화투자증권 +5.7%)
6. Nvidia 신고가는 삼성전자 어닝 쇼크로 인해 반도체 중소형주에서만 반영되었고, 그나마도 제주반도체 장중 고가 +15% → 종가 +4.1%처럼 윗꼬리 속출(피엠티 +18%, KEC +17%, 에이팩트 +15%, 에이직랜드 +9.1%, 가온칩스 +7.1%, 3S +6.1%, 케이씨텍 +5.4%, 와이아이케이 +4.7%, 네오셈 +0.7%).
Apple Vision Pro 1/19 사전 주문, 2/2 출시일 확정에 메타버스 관련주 시세(포바이포 상한가, 자이언트스텝 +28%, 엔피 +22%, 위지윅스튜디오 +11%).
GPT 스토어 종목도 어제에 이어 상승(한글과컴퓨터 +9.2%, 아이크래프트 +10%, 카카오 +2.6%).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래형 디스플레이인 투명 마이크로 LED·OLED TV 공개(HB솔루션 +4.7%). 라온피플(+19%)은 자회사 라온로드가 미국에서 AI 교통특허 등록
7. 지수가 보합에 머물고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M&A 사례가 쏟아지며 제약바이오 선방(알테오젠 +6.5%, 부광약품 +6.2%, 에스디바이오센서 +5.3%).
지아이이노베이션(+7.4%)은 컨퍼런스 현장 인터뷰가 공유되며 급등.
글로벌 빅5 제약사와 약 3조원 규모 기술이전 달성 목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내용.
차세대 유전자 편집 기술로 주목받는 프라임 편집의 효과를 높이는 새로운 체내 수송체가 개발됨.
이 기술을 시력을 잃는 유전병에 걸린 쥐에 적용하자 일부 시력을 되찾은 것으로 발표됨.
연구 결과가 Nature Biotechnology에 실리며 유전자가위 관련주 강세(마크로젠 상한가, 바이오니아 +6.7%).
의료 AI인 제이엘케이(+12%)는 미국 진출과 흑전 의지를 다짐
8. 한화솔루션(+3.9%)은 한화큐셀이 Microsoft와 8년간 최대 12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미국에서 이뤄진 태양광 파트너십 중 역대 최대 규모 계약. 공급계약에는 발전소 설계·조달·시공(EPC) 서비스도 포함.
Twitch 한국 철수 수혜 아프리카TV(+8.1%), 유튜브쇼핑/틱톡샵 테마로 최근 쉬던 카페24(+7.7%), 망분리 관련 슈프리마(+11%), 에코프로머티(+2.1%) 등 개별주 움직임.
코디는 최대주주 시너지파트너스가 동사 지분 매각 관련 지피클럽과 경영권 인수 계약을 위한 Binding MOU 체결 소식에 상한가
9. 지수가 못 가면서 차라리 뒤처진 화장품(토니모리 +20%, 실리콘투 +8.0%, 에이블씨엔씨 7.2%, 코스메카코리아 +5.8%, +클리오 +5.6%, LG생활건강 +3.2% 아모레G +4.2%)이 오르는 등 혼탁한 장세.
증시 제반 환경은 나쁘지 않으나 한국이 안 좋은 상황.
미국 증시가 치고 나가면서 갭 좁히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음
한국, 4분기 실적 우려 부상(신한증권)
지난 밤사이 엔비디아 6%대 상승에도 삼성전자 실적 발표에 반락
KOSPI와 KOSDAQ은 각각 -0.3%, +0.6% 등락했습니다.
밤사이 미국 주식시장 기술주 위주에 상승 출발했으나 이후 외국인의 KOSPI200 선물 매도 영향에 대형주 위주 하락 마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금일 2023년 4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영업이익 2.8조원으로 컨센서스 3.7조원을 하회했습니다.
일본, 중국, 홍콩 주식시장은 엔비디아 6%대 반등 영향에 일괄 상승 마감했으나 KOSPI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는 금일 에코프로머티, SK하이닉스, 삼성전자우, 대한항공을 중심으로 738억 현물 순매수에 나섰으나 선물 시장 통해 4,067계약(3,554억원) 순매도로 국내 주식시장 익스포저를 줄이는 모습이었습니다.
운송(항공), 소프트웨어 업종 상승 vs 철강, 에너지 업종 하락
빅테크가 주도하며 미국 주식시장이 크게 반등 했으나 한국 주식시장은 장 초반 소폭 반등 후 외국인의 프로그램 매물 출회에 전기전자, 철강 등 시총 상위 대형주 위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운송 업종 내 항공주, 헬스케어 업종, 소프트웨어 업종 내 인터넷, 게임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국제유가의 하락으로 에너지 업종은 약세를 보였습니다.
1)운송(항공): 사우디 가격 인하에 국제유가 급락 속 강세.
2)소프트웨어(인터넷, 게임):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기대감 속 연일 상승. 실적 모멘텀까지 겹치며 해당 업종 외국인 순매수 지속.
3) 메타버스: 애플 비전 프로 출시에 VR,AR 관련 메타버스 테마 기대감 상승
다소 우려되는 실적 시즌, 소비자물가 발표 이후 실적으로 중심 이동
삼성전자 작년 4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 영향에 실적 시즌에 먹구름이 드리웠습니다.
4분기는 통상적으로 실제치가 예상치를 하회하기 쉬웠습니다.
여기에 작년 4분기 KOSPI 합산 영업이익 예상치는 고점대비 30%가량 감소하는 최근 변화율을 보였습니다.
중국 경기 부진 및 글로벌 IT 수요 관련 의구심이 자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식시장은 해당 국면에서 실적 변화가 양호하거나 실제 성장을 발표하는 기업에 프리미엄을 부여 할 수 있습니다.
예상치에 부합한 실적을 발표한 업종들 밸류에이션이 상승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금주 미국 소비자물가 발표 이후에는 점차 시장의 시선이 실적으로 이동할 공산이 큽니다.
테마만 가는 장이네
장이 안좋아서 윗꼬리 많이 달고
물리기 참 좋은장이다 조심해야긋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월 10일 수요일 마감시황 (2) | 2024.01.11 |
---|---|
2024년 1월 8일 월요일 산업 리포트 요약 정리 (0) | 2024.01.09 |
[반도체] DARM Trend-Monthly(24.1.3. ibk투자증권) (1) | 2024.01.07 |
[반도체]1월 반도체 업종 투자전략: 삼성전자 매수(24.1.3. 미래에셋증권) (3) | 2024.01.07 |
[반도체/장비] CXL 생태계, 하반기 가시화 기대 (0)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