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산업리포트] 2024년 7월 18일

킹개미 2024. 7. 19. 00:22
반응형

#반도체 그리고 아무 일도 없었다

  • 조정이 당연해 보이는 밸류에이션이기는 하나…
  • 반도체 성장의 모멘텀은 아직 유효
  • 이번 반도체 사이클은 스마트폰, PC 보다는 AI를 중심으로 한 서버 수요가 이끌고 있음
  • 서버와 AI 관련 수요는 대부분 미국에서 창출되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함
  • 이번 업사이클에서는 세트(Q)보다는 공급 제약에 따른 가격(P) 상승의 수혜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반도체 및 관련장비-그리고 아무 일도 없었다.pdf
0.51MB



#반도체 AI산업-액체 냉각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콜드플레이트)

새로운 표준은 액침냉각이 아닌 DLC(Direct Liquid Cooling)

  • 현재 글로벌 Top 10 슈퍼컴퓨터(일반적인 컴퓨터가 아닌 데이터센터의 형태)는 이미 DLC를 활용해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 있음
  • 평균적인 AI 데이터센터의 발열 대비해 5배~8배가량의 발열을 억제하고 있음
  • 시장 점유율 기준으로 DLC의 전체 냉각 시장 내 점유율은 현재 1%이지만 향후 12개월간(2024
  • 년 6월 기준) 15%, 향후 24개월간 3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


DLC(Direct Liquid Cooling)란?

  • 콜드플레이트는 발열부품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뜨거워진
  • 콜드플레이트의 열을 흡수한 물은 렉 외부에서 순환 혹은 방출되도록 설계
  • 물과 콜드플레이트를 이용해 발열을 억제하는 방식이 DLC(D2C라고 부르기도 함) 냉각 방식
  • 펌프를 통해 이 수로에 물을 흘려주면 콜드플레이트의 열도 식게 되고, 다시 뜨거워진 물은 렉타워 아래의 냉각기에서 식혀진 후 콜드플레이트 내부로 다시 주입됨


액침냉각은 왜 안돼?

  • 액침냉각용 수조의 경우 렉타워 대비 큰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내장할 수 있는 렉의 개수도 일반적으로 기존의 렉타워 대비 적음
  • 이러한 문제로 공랭식 기반으로 설계된 데이터센터에 액침냉각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며 이는 데이터센터 사업자 입장에서 비용 문제로 직결됨
  • 한가지 더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렉을 수직으로 꺼내고 넣어주는 리프트의 추가적인 설치로 인해 발생함
  • 마지막으로 액침냉각의 도전과제로는 부식 문제가 있음


반도체 및 관련장비-AI 산업; 액체 냉각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콜드플레이트)
0.64MB


#제약/바이오 FDA 승인 받으면, 주가는 어떻게 될까?

  • FDA 승인 건 수 최고치. 바이오텍 역량 강화 중
  • 승인 후 주가 상승, 시간이 지날수록 차별화

제약-FDA 승인 받으면, 주가는 어떻게 될까_.pdf
0.85MB


#건설주 건설주 상승폭 확대에 대한 의견

하반기의 시작을 알리는 건설주

모멘텀이 확대된 것은 사실이나 건설사 업황 개선을 논하기엔 시간 필요

  • 1) 분양과 착공물량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하기는 했지만 21년 호황기 당시만큼의 공격적인 분양
  • 및 착공 확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 2) 부동산 PF 시장이 충분히 회복되지 못해 주요 브릿지론 현장의 본PF 전환이나 신규
  • 개발사업(자체사업 등) 확대에도 부담이 존재한다.



그러나 주가 상승은 시작되었고, 이제는 속도과 지속성이 관건이다

  • 1) 3Q24부터로 기대되는 주택부문 Mix 개선(악성현장 준공에 따른 GPM 상승)이 실제로 확인되어야 하며
  • 2) 각 건설사의 분양물량 증가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하고,
  • 3) 미분양을 대비한 추가 대손충당금 설정 가능성이 낮아져야 한다.

건설-건설주 상승폭 확대에 대한 의견.pdf
0.49MB


#건설 주가 회복의 초석을 마련

여전히 원가율 부담 지속 구간
2Q24 주요 커버리지 건설 실적은 전반적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선명해지는 업황 전환 시그널
1) 금리인하 가능성 확대: 미국 6월 CPI 컨센서스 하회 이후 기준금리 인하 당위성 상승. 금융비용 하락 및 주택시장 매수심리를 자극
2) 주택시장 회복: 서울(강남권, 마∙용∙성), 1기 신도시(성남, 과천)를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세 지속 중. 연말까지 전세가율 상승이 뚜렷한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차별적 회복세 전개를 예상.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 역시 3개월 연속 4만세대를 상회 중
3) 우크라이나 종전 후 재건 수요 가능성 확대, 해외 수주 모멘텀 상승

건설-주가 회복의 초석을 마련.pdf
1.43MB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7월 22일 마감시황  (9) 2024.07.22
2024년 7월 19일 마감시황  (1) 2024.07.20
2024년 7월 18일 마감시황  (1) 2024.07.18
[리포트] 2024년 7월 16일  (0) 2024.07.17
2024년 6월 확성치 수출데이터  (4) 2024.07.15